페이지별 view count를 측정하기 위해.. controller 진입 마다 log 테이블에 저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건 처음부터 잘못된 선택이였음..😅) 비록 view count를 측정하는 방법 접근이 좀 잘못된 거 같지만~ AOP 써본 기념으로 정리 AOP란? AOP는 Aspect Oriented Programming 의 약자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불린다. 관점 지향은 쉽게 말해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적인 관점, 부가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서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 모듈화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모듈화란 어떤 공통된 로직이나 기능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을 말한다. 1. 먼저 log를 쌓을 Entity 설정 @Getter @NoArgsConstructor @SequenceGener..
1. octotree octotree를 크롬 웹스토어에서 다운 받으면 파일 네비게이터를 쓸 수 있다.(private repo는 안되는듯) 2. 파일 찾기 t를 누르면 파일을 바로 검색할 수 있음. 3. history 보기 깃헙 주소에서 앞 부분 github.com 부분에 github-history.netlify.com 으로 변경 4. vscode 테마로 보기 https://github1s.com/juuxx/hello-core 깃헙 주소에 1s추가하면 vscode view로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chapter5. 스프링 시큐리티와 OAuth2.0으로 로그인기능 구현하기]를 따라 읽다보면 구글과 네이버로 로그인 만들기가 있다. 네이버와 구글을 만들었으면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하는 게 인지상정.. 카카오로그인을 구현해보자 1. 카카오 Developers 사이트로 이동 카카오 Developers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1) REST API 키 [내 애플리케이션] > [앱 설정] > [요약정보] REST API 키 -> application-oauth 에 등록할 client-id (2) 카카오 로그인 활성 ..
회사에서 커밋하다보면 잔디가 안찍힐 때가 있는데.. git user정보가 gitlab에 연결된 회사 이메일 주소로 되어 있어서 개인 프로젝트 작업하고 push를 해도 잔디가 안찍혔다.. 그래서 개인 프로젝트 내부에 git user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일단 유저 정보 확인 git config user.name git config user.email 레파지토리 내부에서 유저 정보 변경할 경우 git config --local user.name 변경할이름 git config --local user.email 변경할이메일 만약 git 전체 default 유저 정보를 변경하고 싶다면 --global로 변경하면 된다.
티꾸(티스토리 꾸미기)✨ 티스토리를 내 입맛대로 바꾸고 있는데.. 문제는 CSS 알못이라 어디 여러 블로그에서 열심히 복붙 하다 보니까 정리도 안되고 엉망이다.. 그래서 Book Club 테마 바꾸고 싶은데.. 바꾸지도 못하고 울며 겨자먹기로 쓰고 있음.. Book Club 테마 무조건 썸네일 있어야되서 좀 짜증난다.. 블로그 글 노션에 적어놓은 거 옮기는 경우가 많아서 마크다운으로 긁어서 가져오는데.. 그럼 대표사진 적용이 안돼.. 엉엉.. 그리고 너비도 바꾸고 싶었는데.. 바꾸니까 다 틀어지는 거 같아서 걘 롤백.. 암튼 각설하고 나중에 테마를 바꾸더라도 CSS를 적용할 수 있게 몇가지 바꾼 것들 적어놓겠다.. 1. inline code code { padding: 0.25rem; background..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